환절기에 주의 해야 하는 4가지 질환

환절기에 주의 해야 하는 4가지 질환

선선한 아침 저녁과 비교적 따뜻한 여름의 차이가 높아진 요즘, 커진 일교차로 시민들의 면역력 관리에도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온도 차이가 높을수록 면역력은 떨어지기 쉬워 환절기 건강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환절기에 조심해야 할 질환 4가지를 소개하며 대비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감기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우리 몸이 체온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건조한 공기 때문에 코와 기관지가 마르면서 바이러스 침입에 대한 면역이 떨어지고 감기에 걸리기 쉽다.

환절기 질환

기관지가 계절 변화를 가장 먼저 인지하는데, 콧물과 코막힘, 재채기, 인후통, 기침, 발열, 두통 틍의 증상이 나타나며, 자칫 방치하면 중이염, 축농증, 기관지염, 폐렴 등의 합병증이 생기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비염은 꽃가루, 미세먼지, 진드기 등의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코 점막을 자극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물처럼 맑은 콧물, 연속적인 재채기, 코막힘,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일교차가 커 면역력이 저하되지 쉬운 환절기에 많이 발생하며 차갑고 건조한 공기 때문에 코 점막이 건조해지고 자극에 민감해져 증상이 악화된다. 특히 가을에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돼지풀, 쑥, 환삼덩굴 같은 잡초류의 꽃가루가 많이 날리므로 조심해야 한다.

 

아토피성 피부염

가을의 건조한 바람은 피부의 수분을 빼앗아 아토피성 피부염을 악화 시킬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가려움증과 피부 건조증, 습진이 주요 증상이다.

건조한 피부는 가려움증을 유발하는데, 이때 참지 못하고 긁다 보면 피부의 습진성 변화가 발생하고, 다시 더 심한 가려움증이 유발되는 등 증상이 악화할 수 있다.

 

대상포진

대상포진은 ‘수두와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신경세포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이 떨어졌을 때 다시 활성화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일교차가 커서 면역이 저하되는 지금과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시기를 조심해야 한다. 콕콕 찌르거나 칼로 베는 것 같은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고, 피부에 띠 모양의 발진과 물집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4가지 질환에 대한 대비법

감기와 비염을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을 손을 자주 씻는 것이다. 또 미지근한 물을 조금씩 자주 마셔 기관지가 건조해지는 것을 막고, 피부에 수분을 공급해주는 것도 필요하다. 성인 기준으로 하루 최소 1.5L 이상, 컵으로 하루 8잔 이상 정도로 문을 마시는 것이 적당하다.

가장 중요한 숙면도 빼놓을 수 없다. 하루 7~8시간 정도의 충분한 수면은 피로를 없애고 면역에 도움이 된다. 매일 정해진 시간에 자고 일어나며, 멜라토닌이 분비되는 밤 11시~새벽3시 사이에는 깊은 잠에 드는 것이 좋다. 걷기나 조깅 같은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 다른 나의 글 대상포진의 원인과 증상, 예방과 치료에 대하 4가지 정보

https://www.nhis.or.kr/nhis/healthin/wbhace05000m01.do

Leave a Comment